2025/04/10 2

📚 깡통따개가 없는 마을. 구효서 作.1993.

📚 깡통따개가 없는 마을. 구효서 作.1993.작중의 주인공은 작가로 나온다.글을 써야하는 고뇌. 한 해에 단편을 한 열 편 정도 쓴다고 하고,원고료는 8백만원 정도를 받는다. 대단한 성공이지만-1993년 기준으로- 두 아이를 가진 가장으로 아내는 살수가 없다고 한다.그래서 도피하듯 찾아간 대청호가 보이는 언덕 마을. 어느 작은 암자. 홀로 있던 암자는 대청호가 만들어지자 수몰지구 사람들이 이주해서 20여호의 마을을 이룬다. "내가 다다른 곳은 반야심경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칠십 노파가 주지로 있는 작은 암자였다. 대전시 판암동을 지나 세천 고개를 넘어 옥천 쪽으로 쌩쌩 달리다 보면 대청 호반이 눈 밑으로 들어온다. 그녀는 그곳에서 호박잎에 팥밥을 싸 먹으며 하루에 귀신 두서넛을 저승으로 쫓아 보내는 ..

독후감 2025.04.10

📚 우리 생애의 꽃. 공선옥作. 1994.

📚 우리 생애의 꽃. 공선옥作. 1994.가슴 작은 미망인과 딸. 어렸을때 딸을 팽개치고 자신의 욕망을 찾아 떠돌던 늙은 엄마. 순직 공무원의 남기고간 몇푼의 연금에 전적으로 의지하면서도 위태한 일상을, 취약한 생활기반을, 오년째 취직을 미루고 있다.아파트 공터에 작은 텃밭에서 시간을 보내며 또 다른 이탈을 꿈꾼다.목욕탕에서 만난 가슴 큰 친구 수자. 그 큰 가슴을 무기로 사내들을 낚는 재주로 먹고산다. 둘이 안 어울리는 조합이지만 함께한다.주 무대는 '남강매운탕'집과 '황제카바레'다."남강민물매운탕집에서 그녀는 일차로 낚시를 드리운다. 강변의 바람은 시원하다. 매운탕은 말고 소주를 시킨다. 매운탕집 주인 여자와는 언니 동생 하는 사이다. 이 집도 매운탕집주인 여자의 각본에 의한 것이다. 수작을 붙여 ..

독후감 2025.04.10